무엇이 아쉬워 또 찾게되는지..
겨울 보내기가 안타까운지 다시금 찾은 설악은 그 댓가를 맘껏 누리게 만들었고
서북릉을 걸으면서 보여지는 설악의 진경에 그래두..
오길 잘했다!!!
라는 흥분은 오랫동안 가슴 깊은 곳에 남을듯 싶다.
* 산행일 : 2012년 3월 1일 09:00 ~ 18:00
* 산행길 : 한계령 ~ 삼거리 ~ 서북릉 ~ 끝청 ~ 중청 ~ 대청 ~ 오색
#1. 2012년 3월1일 설악은 찬란하게 빛나고 있다.
중청오름길 어느 바위에서 바라보는 귀청과 그 너머 가리봉..
서북릉을 걸 을때 언제나 동반자 역할을 하는 두 봉우리는 설악에서도 대우를 좀 받지 못하는 봉우리이지만
그 정수리에서 보는 풍경이란 설악에서도 손꼽히는 최고 명소라..
가는 겨울이 아쉬워 찾은 겨울 설악은 막바지 아름다움을 선사해 주고 있다.
#2. 한계령 위령비 조금 위에 있는 바위에서 바라보는 가리봉..
가리봉이 저렇게 선명하게 보인다면 오늘 산행은 기대해도 좋다는 징조..
#3. 1달도 안되어 또 한번 찾은 한계령...
양희은님의 노래말처럼 저 산은 자꾸 내려가라고 하는데 왜 나는 자꾸 오려고 할까?
한계령에서 보이는 남설악은 아직 눈 속에 고요함을 더해 주는데..
#4. 이럴수가???
한계령에서 삼거리를 오르자마자 등뒤로 보여지는 산하의 그리움에 신음이 절로 난다..
눈에 익은 산줄기가 아닌가?
소뿔산, 1122, 황병고개, 1100, 가마봉, 대바위산, 가득봉 등 영춘지맥 줄기가 그림같이 펼쳐지는 것을..
#5. 칠형제봉 너머 점봉산의 후덕함..
그너머로 보이는 약수, 구룡령, 갈전곡, 가칠봉등 라인이 굽이쳐 흐르고..
#6. 산하의 그리움이여..
단목령 지나 북암령. 조침령. 구룡령. 약수산. 응복산 등등...
백두대간 화려함이 남쪽으로 뻗어가고 있다..
#7. 저 아득함 속에 빛나는 산은 누구일까?
설악의 빛남은 오늘 작정하고 보여주기를 원하는지..
보이는 곳곳마다 화려함 일색으로 나를 유혹하고 있다.
#8. 한계령 상징 바위너머..
방태연릉의 굵직함이 설악을 향해 시위하고 있다.
#9. 오늘 산행여정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시간 관념이 없어지기 시작한다.
저 그리움을 뒤로하고 어떻게 지나칠 수 있을까?
고도를 오르면서 가마봉과 대바위. 백암, 가득 영춘지맥 라인이 뚜렷하게 펼쳐지고 있고
홍천 최고봉인 응봉산도 특유의 둥근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10. 삼거리 못미처 조망대에서 바라보는 귀청과 거시기 바위는 언제나 숨 한번 고르는 곳.
#11. 조망처에서 보이는 가리봉의 웅좌..
설악 변방에 있어 대접을 못 받는 곳이지만 저 곳에서 바라보는 환상들은 아직 못 잊고 있다.
#12. 설악에서 영춘지맥 최고의 하이라이트 구간을 한 눈에 그려본다.
산을 그리워하고 저 길을 걸어본 사람은 저 그림을 보고 무슨 생각이 들까?
가득. 백암. 가마. 황병고개. 소뿔. 그리고 우측 상단부 가리산까지..
#13. 한계삼거리에 도착 과연 저 너머는 어떤 모습일까 궁금하던 차에 오르고 보여지는 풍경에 그만..
심장이 멎는 소리가 들리는 듯...
머리속이 공허의 세계로 된다.
#14. 서북릉을 걷기 시작하며 눈에 익은 한계령 상징들을 살펴본다.
#15. 그리움이여..
설악의 정점들이 아득하게 보인다.
가고자 하는 길이지만 언제갈지 시간 관념은 벌써 망각으로 돌아간지 오래다.
#16. 오래전 이 곳에서 저 바위를 바라보며 진한 커피한잔 하던 기억을 돌아보고..
#17. 설악중에 귀청은 이상하게 맘에 드는 곳..
예전 맘이 힘들 때 가끔은 찾곤 했던 곳인데.
#18. 서북릉을 걸을 때 좌측으로 보이는 전형적인 풍경..
말이 필요 없는 내설악의 속내가 하나둘씩 유혹 덩어리로 다가온다.
#19. 그리고 뒤돌아 보면 귀청의 웅좌가 화려함을 뽐내고 있다.
자신도 봐 달라고 떼를 쓰는듯..
#20. 아래로 보이는 백운계곡이 엄청난 유혹이다.
올 여름에는 자신을 찾아달라고 하는지..
설악의 많은 계곡중 언젠가는 꼭 한번 가야하는 곳이거늘..
#21. 서북릉을 걸을때 내설악을 가장 잘 바라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이곳..
설명이 필요 없는 곳..
공룡이 부모의 형상으로
용아는 자식의 모습으로 겹쳐 보이는 곳..
#22. 그리고 정점을 바라보면..
소청. 중청. 대청. 끝청. 이 한 눈에 들어오는 곳..
서북릉 최고의 북쪽 조망처이다.
#23. 점봉산과 방태산을 같이 바라본다..
서북릉 남쪽의 결정판...
망대암은 보너스..
#24. 서북릉 통과 인증..
#25. 끝청을 오르며 남쪽은 역광모드다..
조리개를 조이니 점봉산의 눈 빛이 파란색으로 투영되기 시작한다.
#26. 끝청..
#27. 끝청에서 바라보는 점봉산과 그 뒤 방태산 줄기..
점봉산 너머 작은 점봉산 지나 좌측 희게 보이는 곳이 곰배령일듯 싶은데..
#28. 끝청에서는 걸어온 서북릉 모든 것이 펼쳐지는 곳..
가리봉. 귀청. 안산까지..
날씨가 좋은 날은 가리산 주걱봉 우측으로 화악이 보인다는 사실..
오늘은 사명산까지 보인다.
#29. 누군가 말한다 저 길을 한 나절만에 종주했다고..
아는 사람은 다 안다 그것이 얼마나 허무맹랑한 소리라는 것을..
아직 저 곳은 설악중에 가장 험한 곳이고 가기 꺼려 하는 곳이라는 것을..
용아장성이다..
#30. 용아장성 끝머리가 봉정암이다..
그리고 보니 봉정암 간지도 꽤 오래된 것 같다.
석탑도 그립네.. 그곳에서 바라보이는 설악의 픙경은 어떠한가?
#31. 소청과 중청...
그리움들이 이제 많이 가까워 졌다.
이제 느껴볼 시간인가?
#32. 중청과 대청..
품속에 뛰어들고 싶다.
언제나 맘속의 동경의 대상들..
이제 그리움은 앞에 기다리고 있다.
#33. 용아를 가운데 두고 좌측 구곡담. 우측 가야동..
그 아래 수렴동 거쳐 백담으로 흘러가는 내설악...
속살까지 내설악은 모두 보여주고 있다.
#34. 중청에서 바라보는 마등령과 황철봉..
설명이 필요없는 곳이다..
#35. 언제나 그대를 그리워 하였거늘..
#36. 앞에보이는 출입금지 표시판이 있는 곳이 길질적인 백두대간길..
희운각에서 소청거치지 않고 대청으로 바로 직등하는 길.
.
#37. 대청에서 바라보는 관모능선길...
오래전 대청산장 있을때는 이용하는 길인데 지금은 폐쇄된 곳..
#38. 대청에서 바라보는 죽음의 계곡과 천불동 최상류..
#39. 대청에서 바라보면 설악의 진면목은 이 장면이 아닐까?
공룡과 마등령, 북릉의 험준함...
따뜻한 봄날 거닐고 싶은 맘..
#40. 중청산장과 중청 정상 두 꼭지..
안산과 대암산 줄기 실루엣이 설악 서쪽을 휘감아 돈다.
#41. 칠성봉에서 천불동으로 뻗어내린 산 줄기들..
#42. 화채릉과 송암릉..
#43. 점봉산과 그 너머 방태산 줄기가 ~~
#44. 사실 설악 남쪽 최고의 조망은 바로 이 장면이다..
점봉산도 아니고 방태산도 아니다..
오대산과 계방산..
그들을 보았을때 설악의 남쪽은 다 보았다고 하여도 무방하지 않을까?
우리의 삶이 서려있는 대간줄기가 저 남쪽으로 향하는 것..
#45. 설악산 대청봉..
#46. 설악산 대청봉 삼각점
설악 11 1987 재설 해발 1707.8m
#47. 이제 하산해야지..
언제 내려가야 하나..
#48. 시간이 늦어 오색으로 하산하는 길을 재촉한다..
점봉산 너머 어슴푸레한 기운이 번져온다.
기분 좋은 날..
오랜만에 설악의 품에 안겨 맘껏 노닐었던 날..
그렇게 설악의 겨울을 보내고 있다.
2012년 백두대간의 봄은 멀었나 보다.. 태백 매봉산(1303.1m) (0) | 2017.07.14 |
---|---|
덕유를 보면서 기백산(1330.8m)에서 금원산(1352.5m)으로 (0) | 2017.07.13 |
겨울산은 이런 날에 올라야 한다!! 태백산(1566.7m) (0) | 2017.07.12 |
가는 겨울이 아쉬워 대간 능선을 걸어보다!! 소백산(1439.5m) (0) | 2017.07.12 |
늦 겨울 걷고 싶은 맘 속의 순례 길을 걷다!!! 몽.가.북.계 (0) | 2017.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