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가 약 25톤에 달한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전설로 아기의 울음소리를 본따 에밀레종이라고도 한다.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고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유두를 사각형의 유곽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 아래로 2쌍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가 연꽃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 2곳에는 종에 대한 내력이 새겨져 있다. 

특히 종 입구 부분이 마름모의 모서리처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있다.

통일신라 예술이 각 분야에 걸쳐 전성기를 이룰 때 만들어진 종으로 화려한 문양과 조각수법은 시대를 대표할 만하다.

또한 몸통에 남아있는 1,000여자의 명문은 문장뿐 아니라 새긴 수법도 뛰어나 1천 3백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손상되지 않고 전해오고 있는 문화재로 앞으로도

잘 보존해야 할 것이다.

 

통일신라시대의 모든 예술의 정화가 종에 새기어져 있으며 그 무늬 모양은 특히 비천상 모양은 현재의 기술로도 모방이 어렵지 않을까 싶고 몸통에 있는 천자의

글자모양 또한 보는이의 감탄을 절로 자아내기 충분한 멋드러진 최고의 걸작품이다.

 

현재 경주 국립박물관에 위치해 있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1.

 

 

 

 

 

#2.

 

 

 

 

 

#3.

 

 

 

 

 

#4.

 

 

 

 

 

#5.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