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월당 김시습이 마지막 행적을 마친 곳이 부여 무량사이다.

천녀고찰의 역사적 의미도 있지만 나 한테는 매월당의 마지막 머물다 간 곳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더 강하게 다가오는 곳이였다.

 

 

* 2014년 5월5일

 

 

#1. 무량사로 향하는 길에 두 그루 큰 노송이 눈에 들어온다.

마치 무량사와 시간을 같이 한 듯 노송의 나무껍질과 살그머니 휜 곡선 도..

절집을 찾아가는 사람의 눈 길을끄는 것은 당연지사!!

 

 

 

 

 

#2. 초파일이 내일인지라 일주문 뒤로 빠알간 연등 행렬이 곱다.

 

 

 

 

 

#3. 만수산 무량사 일주문 현판은 꽤 오랜 세월의 흔적이 남겨진 듯한 모양새다..

일주문 현판 글씨는 차우(此愚) 김찬균 님의 글씨라고 하는데..

 

 

 

 

 

#4. 일주문 형태는 자연스러운 나무기둥으로 더욱 운치감이 있다. 

 

 

 

 

 

#5. 일주문 뒷 현판에는 광명문으로 또 하나 걸려있다.

편액 글씨는 무량사 현판과 같은 김찬균님의 글씨이고 자세히 보면 우측 귀퉁이에 한반도 표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6. 천왕문 우측 옆으로 고려시대 당간지주가 있고..

 

 

 

 

 

#7. 천왕문 안에는 사천왕상이 있는데 그들의 표정이 괜히 옷깃을 여미게 만든다.

남쪽을 지키는 증장천왕(좌측) 서쪽을 지키는 광목천왕(우측)

 

 

 

 

 

#8. 좌측 녹색 얼굴을 띈 사천왕상은 북쪽을 지키는 다문천왕인데 비파를 들고 있고

우측은 동쪽을 지키는 지국천왕이다..

 

 

 

 

 

#9. 무량사 주 불전인 극락전은 이층으로 마곡사 대웅보전과 더불어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10. 극락전 현판은 매월당 김시습이 써준 글씨라고 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11. 우물 정(井)자 형태의 극락전 문은 소박한 미가 돋보이고..

 

 

 

 

 

#12. 무량사 석등, 오층석탑, 극락전은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로 되어 있다.

천왕문에서 보면 무량사는 석등과 석탑, 극락전이 일직선 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3. 백제시대 양식을 띈 오층석탑은 비례감 마저 풍만하게 멋드러진 고려시대 탑이다,

 

 

 

 

 

#14. 영산전 앞 나무 한그루 멋드러진 자연미에 감탄을 하게 만든다.

 

 

 

 

 

#15. 신록속에 빠알간 잎새 나무는 돗보이고..

 

 

 

 

 

#16. 산사에 가면 어김없이 장독대는 반드시 담는 나의 집착!!

 

 

 

 

 

#17. 어쩌면 무량사에서 가장 예쁜 편액이 아닐까?

우화궁(雨花宮)..

 

 

 

 

 

#18.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는 경외심 마저 느끼게 만든다..

 

 

 

 

 

#19. 무량사 전각중에 단청이 칠해지지 않은 전각이 있는데 청한당이다.

매월당이 입적한 자리에 세웠다고 하는데 매월당의 청빈함이 느껴지듯 간결함이 돗보인다.

 

 

 

 

 

#20. 극락전 앞 마당에 있는 고목의 두께가 무량사의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라..

 

 

 

 

 

#21. 무량사를 떠나 매월당의 부도탑이 있는 곳으로 가는 길에

뒤돌아 볼 때..

 

 

 

 

 

#22. 매월당 부도탑은 무량사에서 벗어나 우측으로 응진암 가는 길에 있다.

 

 

 

 

 

#23. 스님도 아니면서 그의 부도탑이 있는 것이 에사롭지 않다.

그리고 그의 묘비에는 오세김시습지묘(五歲金時習之墓)라는 비석이 있는 것이 아이러니 하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