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연의 계기로 찾아간 곳..

천년고찰 축서사를 품에 안고 있는 문수산에서 보는 소백의 진경!!!

그 이름 하나로 왜 봉화의 진산이라고 하는지 알 수 있다.

 

 

* 산행일 : 2013년 10월 6일 10:20 ~ 14:40

* 산행길 : 축서사 ~ 문수지맥갈림길 ~ 문수산 ~ 축서사

 

 

#1. 문수산에서 소백을 보고 있다..

소백 죽령에서 비로봉 거쳐 국망봉, 신선봉, 민봉까지...

태풍의 영향때문인지 날은 흐렸지만 바람때문에 산은 제대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 축서사가 들머리..

축서사 외딴 곳에 있는 스님들의 수도하시는 곳..

 

 

 

 

 

#3. 주실령에서 올라오는 주 능선과 만나 문수산쪽으로 향하다 보면 우측으로 기가막힌 조망처가 있다.

눈 여겨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 곳에서 보는 풍경이란..

작년에 걸었던 대간 줄기가 넘실대고 있는데..

선달산, 마대산, 태화산이 겹쳐 보이는 저 조망!!

산을 오르면 무슨 풍경이 더 보일까?

 

 

 

 

 

#4. 소백은 살포시 제 모습을 감추고 있고..

 

 

 

 

 

#5. 봉화 문수산에서 단양 도솔봉과 주변 산하를 감상한다...

 

 

 

 

 

#6. 안동 학가산이 영주, 안동 지방에서는 중요한 조망포인트가 된다.

 

 

 

 

 

#7. 경북 내륙의 가을이 물들어 가는 풍경..

 

 

 

 

 

#8. 문수산을 향하여 가는 발걸음은 급할게 없다..

천천히 불어오는 바람을 가슴에 안은채!!

 

 

 

 

 

#9. 정상에 힘들이지 않고 도착한다..

늦은맥이재에서 갈곶산 거쳐 소백으로 향하는 대간능선을 눈으로 쭉 따라보고..

형제봉이 우뚝함이 멋지다.

 

 

 

 

 

#10. 건너편 옥돌봉..

 

 

 

 

 

#11. 백두대간 선달산..

 

 

 

 

 

#12. 문수산 정상..

 

 

 

 

 

#13. 문수산 삼각점

춘양 11  1995 복구  해발 1206.6m

 

 

 

 

 

#14. 백두대간 늦은맥이 뒤로 소백산 형제봉과 마대산을 분기하는 베틀재와 그너머 영원 태화산이 겹쳐보인다.

 

 

 

 

 

#15. 형제봉과 백두대간 1096봉..

 

 

 

 

 

#16. 소백산 신선봉 , 민봉

 

 

 

 

 

#17. 소백산 국망봉 , 상월봉..

 

 

 

 

 

#18. 소백산 비로봉 . 제1연화봉..

 

 

 

 

 

#19. 소백산 연화봉과 천문대..

 

 

 

 

 

#20. 소백산 도솔봉 , 삼형제봉..

 

 

 

 

 

#21. 안동 학가산 ,  좌측 멀리 대구 팔공산 같은데 확실하지 않음..

 

 

 

 

 

#22. 영천 보현산과 면봉산 같음(확실하지 않음)

 

 

 

 

 

#23. 청량산 , 축융봉..

 

 

 

 

 

#24. 영주시..

 

 

 

 

 

#25. 그래두 문수산에서는 뭐니해도 소백산 보는 맛이 최고다!!

 

 

 

 

 

#26. 풍기방향과 도솔봉도 다시금 바라보고..

 

 

 

 

 

#27. 학가산도 저 멀리..

 

 

 

 

 

#28. 문수산 정상 표시..

 

 

 

 

 

#29. 가을이 물들어 가는 문수산에서 보는 산 너울은 백두대간의 장엄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것..

 

 

 

 

 

#30. 문수지맥 1157봉도 저만치..

 

 

 

 

 

#31. 각화산 왕두산 능선은 어떠한가?

 

 

 

 

 

#32. 문수산 정상은 갈색으로 물들어 간다.

 

 

 

 

 

#33. 문수산을 정점으로 지맥은 1157부터 산 높이를 떨어트리고 있다..

 

 

 

 

 

#34. 처음 올랐을때보단 조금 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문수산에서 보는 소백산..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명 장면이었다..

 

 

 

 

 

#35. 문수산에서 축서사로 향하는 길..

이른 가을 낙옆은 벌써 떨어지고 있다.

 

 

 

 

 

#36. 소백을 벗삼아..

 

 

 

 

 

#37. 절은 천년고찰이지만 절집은 크게 감흥이 없고..

소나무와 담은 자꾸 시선이 간다.

 

 

 

 

 

#38. 석등에 소백을 같이..

 

 

 

 

 

#39. 두 그루 소나무가 정겨운 듯이..

 

 

 

 

 

#40. 어느 전각에 기대어 소백을 바라볼때는 기분이 저절로 UP~~

 

 

 

 

 

#41. 축서사의 가장 아름다움은 전각의 풍경이 아니라 소백을 보는 것이다..

아마 축서사 위치를 정할때도 그 멋에 취해서 정하지 않았을까?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