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의 계기로 찾아간 곳..
천년고찰 축서사를 품에 안고 있는 문수산에서 보는 소백의 진경!!!
그 이름 하나로 왜 봉화의 진산이라고 하는지 알 수 있다.
* 산행일 : 2013년 10월 6일 10:20 ~ 14:40
* 산행길 : 축서사 ~ 문수지맥갈림길 ~ 문수산 ~ 축서사
#1. 문수산에서 소백을 보고 있다..
소백 죽령에서 비로봉 거쳐 국망봉, 신선봉, 민봉까지...
태풍의 영향때문인지 날은 흐렸지만 바람때문에 산은 제대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 축서사가 들머리..
축서사 외딴 곳에 있는 스님들의 수도하시는 곳..
#3. 주실령에서 올라오는 주 능선과 만나 문수산쪽으로 향하다 보면 우측으로 기가막힌 조망처가 있다.
눈 여겨 보면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 곳에서 보는 풍경이란..
작년에 걸었던 대간 줄기가 넘실대고 있는데..
선달산, 마대산, 태화산이 겹쳐 보이는 저 조망!!
산을 오르면 무슨 풍경이 더 보일까?
#4. 소백은 살포시 제 모습을 감추고 있고..
#5. 봉화 문수산에서 단양 도솔봉과 주변 산하를 감상한다...
#6. 안동 학가산이 영주, 안동 지방에서는 중요한 조망포인트가 된다.
#7. 경북 내륙의 가을이 물들어 가는 풍경..
#8. 문수산을 향하여 가는 발걸음은 급할게 없다..
천천히 불어오는 바람을 가슴에 안은채!!
#9. 정상에 힘들이지 않고 도착한다..
늦은맥이재에서 갈곶산 거쳐 소백으로 향하는 대간능선을 눈으로 쭉 따라보고..
형제봉이 우뚝함이 멋지다.
#10. 건너편 옥돌봉..
#11. 백두대간 선달산..
#12. 문수산 정상..
#13. 문수산 삼각점
춘양 11 1995 복구 해발 1206.6m
#14. 백두대간 늦은맥이 뒤로 소백산 형제봉과 마대산을 분기하는 베틀재와 그너머 영원 태화산이 겹쳐보인다.
#15. 형제봉과 백두대간 1096봉..
#16. 소백산 신선봉 , 민봉
#17. 소백산 국망봉 , 상월봉..
#18. 소백산 비로봉 . 제1연화봉..
#19. 소백산 연화봉과 천문대..
#20. 소백산 도솔봉 , 삼형제봉..
#21. 안동 학가산 , 좌측 멀리 대구 팔공산 같은데 확실하지 않음..
#22. 영천 보현산과 면봉산 같음(확실하지 않음)
#23. 청량산 , 축융봉..
#24. 영주시..
#25. 그래두 문수산에서는 뭐니해도 소백산 보는 맛이 최고다!!
#26. 풍기방향과 도솔봉도 다시금 바라보고..
#27. 학가산도 저 멀리..
#28. 문수산 정상 표시..
#29. 가을이 물들어 가는 문수산에서 보는 산 너울은 백두대간의 장엄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것..
#30. 문수지맥 1157봉도 저만치..
#31. 각화산 왕두산 능선은 어떠한가?
#32. 문수산 정상은 갈색으로 물들어 간다.
#33. 문수산을 정점으로 지맥은 1157부터 산 높이를 떨어트리고 있다..
#34. 처음 올랐을때보단 조금 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문수산에서 보는 소백산..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명 장면이었다..
#35. 문수산에서 축서사로 향하는 길..
이른 가을 낙옆은 벌써 떨어지고 있다.
#36. 소백을 벗삼아..
#37. 절은 천년고찰이지만 절집은 크게 감흥이 없고..
소나무와 담은 자꾸 시선이 간다.
#38. 석등에 소백을 같이..
#39. 두 그루 소나무가 정겨운 듯이..
#40. 어느 전각에 기대어 소백을 바라볼때는 기분이 저절로 UP~~
#41. 축서사의 가장 아름다움은 전각의 풍경이 아니라 소백을 보는 것이다..
아마 축서사 위치를 정할때도 그 멋에 취해서 정하지 않았을까?
가슴 깊이 아련하게 울리는 무언가의 기대!!! 해산(1190.3m) (0) | 2017.08.08 |
---|---|
조금 떨어져서 보는 가을 설악의 美 !! 가리봉(1518.5m) (1) | 2017.08.08 |
강원의 모든 산을 바라보는!!! 오대산 호령봉 조망!! (0) | 2017.08.08 |
완연한 가을 색감의 화려함에 빠져들다!! 오대산(1563.4m) (0) | 2017.08.07 |
오대산에 오르면 반드시 이곳에 가야 하는 곳 호령봉(1561m) (0) | 201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