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원래는 완주(完州)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2층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였으나 지금은 탑신의 한 층이 없어지고 4층까지만 남아있다.

   아래·위 기단 모두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 기단 위로 4층의 탑신에는 각 층의 몸돌마다 네 모서리에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을뿐 다른 꾸밈은 없다.

   지붕돌은 경사가 급하고 추녀 끝이 약간 들려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밑에는 3단의 받침을 두어 고려시대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탑 머리부분에는

   머리 장식이 일부 남아 있으나 훗날 보충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균형미가 있으며 고려탑의 간결한 아름다움이 잘 나타나 있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