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피부병으로 고생하던 선덕여왕이 동해안 천곡령 아래의 약수로 효험을 본 뒤 자장율사에게 절을 짓도록 하고 천곡사라 하였다. 창건 이후의 역사는 거의 전하지 않고 현재는 법당과 스님이 기거하는 요사채만이 남아있는 조그만 사찰이다.
각 층 몸돌 모서리에는 엷은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는데, 특히 1층 몸돌이 매우 높고 2층 이상의 몸돌부터는 체감률이 적어서 탑 전체가 높아 보인다.
지붕돌은 좁고 두꺼워 둔중한 느낌을 주는데 밑면에는 연꽃조각이 장식되어 있다.
지붕돌의 경사면은 거의 직선에 가깝다. 탑의 머리장식부분에는 장식을 받치는 노반(露盤)만이 남아있다. 지붕돌 아래에 받침을 두는 대신 연꽃무늬를 장식한 것은 매우 특이하며 각 부분의 돌이 엉성하게 짜여있지만 이형(異形)
석탑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간략화된 조각수법이나 각 부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된다.
#1.
#2.
#3.
#4.
#5.
보물 제 266호 청량사 삼층석탑(淸凉寺 三層石塔) (0) | 2017.03.27 |
---|---|
보물 제 276호 발산리 오층석탑(鉢山里 五層石塔) (0) | 2017.03.27 |
보물 제 354호 천흥사지 오층석탑(天興寺址 五層石塔) (0) | 2017.03.26 |
보물 제 373호 보천사지 삼층석탑(寶泉寺址 三層石塔) (0) | 2017.03.26 |
보물 제 168호 경주 천군리 삼층석탑(慶州 千軍里 三層石塔)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