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주에서 보은으로 가는 길에 중간쯤에 가덕면이 있고 피반령의 큰 고갯길 전에 좌측으로 계산리라는 곳이 나온다.

 
계산리 마을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오층석탑은 고려시대의 탑으로 높이가 7m 되는 꽤 높은 석탑이다.
탑을 찾아가는 길이 좀 애매하다. 청원지방에서는 가장 높은 석탑이며 전체 형식은 간결하며 탑의 훼손 정도가 심하게 느껴진다.


 

1층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은 가운데돌이 서로 엇갈려 짜였으며 아무런 조각이 없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별개로 조성하여 포개어 놓았는데 그 짜임새는 전반적으로 무질서하다.
1층 몸돌은 4장의 넓적한 돌로 이루어졌는데, 동서로 길고 넓적한 돌을 놓고 그 사이 남북으로 작은 돌 2개를 끼워 놓았다.
2층은 몸돌이 하나이고, 3층은 1층과 같이 4장의 돌로 구성되었다. 그 짜임은 1층과 정반대로, 남북으로 긴 돌을 놓고 그 사이로 동서로 작은 돌 2개를 끼워 놓았다. 4·5층은 한 돌로 되어 있다. 지붕돌은 1·2층이 2장의 돌로 이루어져 있고, 3층 이상은 한 돌이다.
지붕돌 아래받침은 1·2층이 5단, 3·4층이 4단, 5층은 3단으로 줄어들었다. 지붕돌의 낙수면은 그 경사가 매우 심하며 네 귀퉁이의 들림은 없다.
특히 지붕돌 받침이 처마끝까지 나와 있어 둔중한 느낌이 들지만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잡히고 안정감이 있는 석탑이다.
기단이 1층으로 간략해진 점과 각 부의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중기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된다.

 

 

 

#1.

 

 

 

 

 

#2.

 

 

 

 

 

#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