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추역은 예전의 모습이 아닌 문을 닫은 채로 유리창 마다 큰 판자로 모습을 가려져 있는 폐역이다.
오래 전 송추유원지에 오는 사람들의 낭만 어린 열차의 기다림 전혀 없다..
그저 열차만 비정기적으로 통과하는 곳..
송추역 현실이다..
#1. 부본선 승강장위에 서 있던 옛 지주형 행선지판은 사라졌고
처마밑 승강장에 매달려 있는 행선지판도 송추의 송자 한자는 어디론가 도망가고
그것도 누가 기록을 할 사람이 없는지라 바람에 흔들리고 있다.
#2. 역 구내로 들어갔다.
맨 좌측 처마가 있는 승강장과 주본선이 있으며 부본선이 있는 승강장의 모습은 다 허물어져가고 있었다.
그 옆으로 폐 나무침목과 녹슬은 철도시설물이 적재되어 있어 쓸모없는 것 들 집산지가 아닐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모든것들이 정지되어 있는듯한 느낌을 준다. 고요한 적막만 흐르고 넓은 역 구내의 쓸쓸함이 옛날이야기로 고개를 돌리게끔 하게 만든다.
#3. 의정부역 방향..
사진으로 봤을때에는 험난함이 가로막을듯 하지만 선로는 좌측으로 굽어져 골짜기를 타고 오르막을 하면서 의정부로 향한다.
아마 교외선이 운행 할 때 이곳이 백미였을 것 같은데 북한산의 산 내음을 조금이라도 맡을 곳은 이곳 뿐 아닐까?
#4. 멀리서 보는 역사와 북한사 자락은 잘 어울린다.
선로도 조용하게 산 속으로 건널목을 지나 곡선을 이루며 스며든다.
아쉬운 점은 보다 화려한 색채로 다가오지 못한다는 점..
뿌연 연무가 뒤덮혀 햇살을 가로막고 있기때문에 분위기 전체가 어두컴컴해지는게 렌즈에 담는것은...
멋진곳인데 표현을 못하는 것이 부족이고 핑계이지만 카메라 탓으로 돌리는 것 또한 나의 어리석음..
#5. 온릉역 방향..
어스름한 날씨때문에 멀리보이는 사물자체가 회색빛으로 물들기 시작한다.
멀리 선로가 합쳐지는 지점에 아이의 손을 잡고 오는 사람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평상시 같으면 상상을 못하는 일이지만
교외선 선로에서는 가능한 일이 아니겠는가? 열차 운행이 거의없으니까..
#6. 승강장 모습도 한쪽은 콘크리트로 정성을 들여 만들었고 한쪽은 초창기 그대로의 흙으로 만들어 세월속에 허물어져 가는 그위에 가로등만이..
과연 이 곳에 불을 밝힐것인가 하는 의문점을 만들어낸다. 멀리 보이는 두 사람이 많이 다가왔다.
#7. 역 광장은 어르신들의 놀이터로 바뀌어버렸다.
그 옆에 놓인것은 오래전에 사용되었던 맞이방.. 이제는 보기 힘든 것이지만 이것이 역사 측면에도 있다..
오래전 풍경이지만 시설물 하나만 보더라도 송추역의 영화를 상상해 볼 수 있지 않을까?
#8. 의정부에서 온 열차는 송추역을 보면 이런 모습이겠지..
수동식 분리기가 있고 열차는 주본선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겠고 승강장에 있던 손님들은 열차를 맞이하겠지. 상상이 간다..
승객들 대부분은 연인들이겠고 북한산의 아름다움과 사랑을 가득 안고...
#9. 송추하면 처음 떠오르는것은 북한산 자락에 있는 유원지..
북한산 자락을 통과하는 고속도로의 사패산 터널을 환경문제로 인하여 공사를 하느냐 마느냐 한동안 떠들썩한 시간들. 그러나 내가 찾았을때에는
그런 나의 생각과는 전혀 먼 이야기이고 조그마한 시골동네 같은 무슨 이유에서 활기보다는 그냥 삶을 지속하는 정도의 우리가 볼 수 있는 시골동네였다.
역 앞의 광장도 꽤 넓은 편이고 맞이방이 역 광장과 역 측면에 처마까지 해 놓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송추역의 한창 번창했을 때 사람들의 왕래가 얼마나 많았던가 상상이 간다.
2007년 늦가을..
老松사이로 보이는 역명판이 돋보이는 역 장항선 판교역(板橋驛) (0) | 2017.04.07 |
---|---|
짧은 터널을 지나 만나는 잊어버린 역 장항선 상좌역(上佐驛) (0) | 2017.04.07 |
짙은 가을색과 터널을 이웃하고 있는 교외선 온릉역(溫陵驛) (0) | 2017.04.07 |
울긋불긋 안개속에 파뭍히는 교외선 장흥역(長興驛) (0) | 2017.04.06 |
추억으로 가는 사랑의 영화열차 교외선 일영역(日迎驛)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