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황사 대웅전을 처음 대한것은 유홍준 교수가 쓴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였다.

 

   우리나라 최남 단인 해남에서도 한참 아래인 달마산 기슭에 미황사라는 절이 있고 달마산 봉우리 밑에 대웅전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 나중에

   시간이 되면 꼭 가야겠다는 마음을 먹은 차에 막상 가보니 백문이 불여일견이라..

 

   뒤에 보이는 달마산 암봉과 어울리는 대웅전의 모습은 내가 생각했었던 것보다 훨씬 멋졌다.

 

   달마산 기슭에 자리잡은 미황사는 우리 나라 육지 가장 남쪽에 있는 절이다.

   미황사 사적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경덕왕 8년(749)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조선 선조 31년(1598)에 다시 지었고 영조 30년(1754)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석가모니 상을 모시고 있는 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주춧돌은 앞면 4개와 옆면 2개를 특이하게 연꽃무늬에 자라, 게 따위를 조각한 돌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는 자연석을 썼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천장 속을 가리고 있는 형식인데 가운데에 불교어인 ‘범(梵)’를 선명하게 새겨 놓았다.

 

 

#1.

 

 

 

 

 

 #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