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벽의 바위면을 깎아 만든 높이 5.5m의 고려시대 보살상으로, 보살상이 암벽의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에 조각된 특이한 구도를 보여준다.
얼굴은 비교적 풍만하고 부피감도 있지만, 가는 눈과 작은 입에서 신라시대의 보살상과는 다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어깨나 팔의 부드러운 굴곡은 얼굴에 어울리는 형태미를 묘사하고 있어서 상당한 수준의 조각가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옷자락을 잡고 있는 오른손이나 지나치게 큰 왼손, 둔중하게 묘사된 두 발, 경직된 U자형의 옷주름 등에서 신라시대보다 둔화되고 위축된
고려시대 조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불상이 딛고 서 있는 반원형의 연꽃 대좌(臺座)와 부처의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에서도 나타난다.
이 보살상은 얼굴·신체·옷주름·광배 등에서 신라시대 보살상보다 형식화가 진전된 고려시대의 마애보살상으로 볼 수 있다.
이 불상은 절벽의 쑥 내민 바위면을 깎아 부조(浮彫)로 새긴 것으로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를 모두 갖춘 고려시대(高麗時代)의 거대한 보살상(菩薩像)이다.
얼굴은 비교적 풍만하면서도 부피감이 있지만 가는 눈, 작은 입 등에서 신라보살상(新羅菩薩像)보다는 다소 진전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신체는 허리를 약간 비튼 유연한 자세라든가 어깨나 팔의 부드러운 굴곡 등 얼굴에 어울리는 형태미를 묘사하고 있어서 이 상(像)이 상당한 수준의
조각가에 의하여 조성된 작품임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천의(天衣) 자락을 잡은 오른손이나, 손바닥을 펼쳐 보이는 지나치게 큼직한 왼손의 형태, 둔중한 두 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옷의 경직된
U형 옷주름 등에서 역시 고려조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반원형(半圓形)의 연꽃대좌나 배모양(舟形)의 전신광배(全身光背)에서도
찾아 볼 수 있어서 어쨌든 이 상(像)이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우수한 마애보살상(磨崖菩薩像)임을 잘 알려주고 있다.
흔히 이 보살상은 『일선지(一善志)』에 보이는 금오산 최상봉 밑에 있었다는 보봉사(普峰寺)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1.
보물 제 265호 청량사 석조석가여래좌상(淸凉寺 石造釋迦如來坐像) (0) | 2017.04.23 |
---|---|
보물 제 84호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神福寺址 石造菩薩坐像) (0) | 2017.04.23 |
보물 제 519호 관룡사 석조여래좌상(觀龍寺 石造如來坐像) (0) | 2017.03.29 |
보물 제 136호 경주 남산 미륵곡 석불좌상(慶州 南山 彌勒谷 石佛坐象) (0) | 2017.03.28 |
보물 제 913호 경주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慶州 茸長寺址 磨崖如來坐像)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