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주에서 추령터널을 지나 문무대왕 수중릉으로 가는길 좌측으로 감은사지의 큰 절터가 나온다.

   탑의 높이는 13.4m이며 보는이를 압도하는 거대한 쌍탑이다.

   2층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서로 같은 규모와 양식을 하고 있으며 옛신라의 1탑중심에서 삼국통일 직후 쌍탑양식으로

   가람(伽藍)배치가 바뀌어가는 과정에서 등장한 최초의 탑이다.

   감은사는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이 새 나라의 위엄을 세우고, 당시 틈만 나면 동해로 쳐들어 오던 왜구를 부처의 힘으로 막아내어 나라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세운 절로, 동해 바닷가인 이 곳에 터를 잡았다.

   문무왕은 생전에 절이 완성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그 아들인 신문왕이 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즉위 이듬해인 682년에 완공하였다.

   이러한 호국사상은 탑에도 이어져 장중하고 엄숙하면서도 기백이 넘치는 탑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 탑의 가장 큰 특징은, 각 부분들이 하나의 통돌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수십개에 이르는 부분석재로 조립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백제탑의 영향을 받은 것인데 그대로 모방하는데 그치지 않고 치밀한 계산을 거친 정교한 비율로 짜 놓았다.

   또한 거대함을 잘 살리기 위한 의도이기도 한데 통돌을 사용하여서는 그러한 연출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탑을 세운 때는 신문왕 2년(682)의 일로

   경주에 있는 3층석탑으로는 가장 거대하다.

   동해를 바라보는 높은 대지에 굳건히 발을 붙이고 하늘을 향해 높이 솟아오른 모습은 실로 한국석탑을 대표할 만하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1.

 

 

 

 

#2.

 

 

 

 

 

 #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