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충남 대천에서 성주산을 지나 성주사지를 답사한 후 청양가는 쪽으로 접어들면 만수산 무량사 가는 길이 좌측으로 보인다.

   주차장에 차를 주차시킨 후 무량사로 가면 극락전과 함께 오층석탑의 우람하고 멋드러진 자태가 눈앞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현재 1층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높이는 7.5m 이다.

   기둥 사이를 잇는 부분은 판돌을 세우고 그 위로는 여러 장의 널돌로 짜여진 맨윗돌을 얹었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에서 가볍게 들려있다.

   지붕돌과 밑의 받침은 딴 돌로 구성되어 있고 받침의 수는 위로 올라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낮은 받침돌 위로 머리장식의 일부가 남아있다.

   백제와 통일신라의 석탑 양식을 조화시켜 만든 고려 전기의 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백제의 옛 땅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백제의 기법이 이어졌고 통일신라의 시대적인 양식도 계승되었다. 

 

 

 

#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