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달사지에 도착하여 넓은 절터를 바라보면 고달사가 얼마나 큰절이었던가를 보여주는 대좌(大座)를 만나게 된다.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되었으나, 누구에 의해 창건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
이 석불좌는 불상(佛像)은 없어진 채 대좌만 제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하다.
받침돌은 위·중간·아래의 3단으로, 각기 다른 돌을 다듬어 구성하였는데, 윗면은 불상이 놓여져 있던 곳으로 잘 다듬어져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서로 대칭되게 돌려 새겼다.
이 대좌가 사각형으로 거대한 규모이면서도 유연한 느낌을 주는 것은 율동적이면서 팽창감이 느껴지는 연꽃잎의 묘사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꽃잎의 표현 수법은 고달사지부도(국보 제4호) 아래받침돌과 매우 비슷하며 가운데 꽃잎을 중심으로 좌우로 퍼져나가는 모양으로 배열하는 방법은
고려시대의 양식상 공통된 특징이다.
높이 1.48m에 삼단으로 되어있고 큰 연화문의 모양이 대좌의 웅장함을 뒤받침 해주고 대좌위에 부처님이 앉아있는 모습을 상상할 때 부처님의 크기 또한 만만치
않았을 것이다. 만약 그 위에 부처님이 존재하여 현재까지 보존이 되었을 때 우리나라 최고의 석조미술품이 되지 않았을까 상상을 하게 된다.
조각솜씨가 훌륭한 사각형 대좌의 걸작으로, 절터에 있는 고달사지부도가 고려 전기의 일반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대좌도 10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1.
#2.
#3.
2017.5.3...
보물 제 282호 고달사지 쌍사자석등(高達寺址 雙獅子石燈) (0) | 2017.03.26 |
---|---|
보물 제 86호 굴산사지 당간지주(掘山寺址幢竿支柱) (0) | 2017.03.26 |
보물 제 40호 실상사 백장암 석등(實相寺 百丈庵 石燈) (0) | 2017.03.26 |
보물 제 35호 실상사 석등(實相寺 石燈) (0) | 2017.03.26 |
보물 제 471호 통도사 봉발탑(通度寺 奉鉢塔) (0) | 2017.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