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남 벌교에서 낙안 민속마을 지나 선암사 쪽으로 가다보면 금둔사가 오른편에 있다.

 
금둔사 절은 조그마한 암자같이 보였으며 경내에 금둔사 삼층석탑및 석불입상이 있어 절의 고풍스러운 모습을 자아낸다.
석불입상에 두손 모아 합장을 한후 석탑을 보니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양식을 띈 우수한 석탑이며 높이는 4m이다.
탑의 상륜부가 훼손되어서 아쉽지만 남도지방에서 볼 수 있는 9세기경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서는 전체 비례미, 탑신의 조각 등이 아름답다.
 
탑은 2층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모양을 본떠 새기고, 윗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八部衆像)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이 새겨져 있고, 특히 1층 몸돌은 앞뒷면에 문짝과 자물쇠를, 양 옆면에 불상을 향하여 다과를 공양하는 공양상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5단씩이고, 처마는 평평하며, 낙수면은 완만하게 경사지다가 네 귀퉁이에서 힘차게 치켜 올려져 있다.
1층 몸돌에 공양상이 새겨져 있는 점은 특이한 예이며, 각 부의 비례도 좋고 조각수법이 세련된 석탑이다.
탑의 뒷편에는 석불입상(石佛立像)이 있는데, 이들은 서로 연관된 의미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1.

 

 

 

 

#2.

 

 

 

 

#3.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태그
방문자수
  • Total :
  • Today :
  • Yesterday :

카메라와 지도 한 장 들고 오늘도 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