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에 있는 유일한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큰 기대를 하고 갔었는데 석탑의 모습을 보는 순간 실망감이 몰려드는 것은 왜일까?
석탑의 상태가 너무 엉망이었고 무너진 것을 끼워 맞추기 형식으로 탑 모양을 만든것 같은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보기에도
안타까웠다.물론 고려시대의 것으로 역사적 가치도 있겠지만 그냥 겉보기에는 실망스러운 탑 모양이었다.
탑은 1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네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탑신부은 1층 몸돌만 두 장의 돌로 짜여있고, 그 이상은 각각 하나의 돌이다.
1층 몸돌의 크기에 비해 2층 몸돌의 크기가 급격히 줄어들어 있다.지붕돌은 밑면에 1층은 4단, 나머지층은 3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추녀밑은 반듯하다가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올려져 있다.탑이 무너졌을 때 추녀마루가 깨어져, 치켜오른 정도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점이 안타깝다.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주며, 각 부분에 두는 장식이 많이 생략되었고, 형식적으로 표현된 부분이 많은 탑이다.
신라석탑의 양식을 이어받아 변형된 고려시대 석탑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1.
#2.
#3.
#4.
#5.
#6.
보물 제 945호 금둔사지 삼층석탑(金屯寺址 三層石塔) (0) | 2017.03.25 |
---|---|
보물 제 312호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密陽 小台里 五層石塔 ) (0) | 2017.03.25 |
보물 제 18호 정산 서정리 구층석탑(定山 西亭里 九層石塔) (0) | 2017.03.25 |
보물 제 19호 성주사지 오층석탑(聖住寺址 五層石塔) (0) | 2017.03.25 |
보물 제 20호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聖住寺址 中央 三層石塔) (0) | 2017.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