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에 있는 고달사지를 2번이나 갔다.
거의 1년을 두고 갔었는데 간 이유는 바로 이 고달사지 부도를 보러 간것이다.
고달사지에는 국보인 이 부도를 비롯하여 보물 3점이 더 있는데 모두가 멋있는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특히 이 부도는 누구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달사지의 윗쪽에 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데 우리나라 부도중에서도 장엄한 편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널찍한 절터 한켠에 세워진 이 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基壇)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는데 특히 가운데돌에 새겨진 조각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가운데돌은 8각이라기보다는 거의 원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에 새겨진 두 마리의 거북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사실감이 느껴진다.
각 거북을 사이에 두고 네 마리의 용을 새겨 두었으며, 나머지 공간에는 구름무늬로 가득 채웠다.
돌에 꽉차게 새겨진 무늬들이 과장되지 않고 세련되어 능숙하면서도 대담한 힘이 느껴진다. 가운데돌을 중심으로 그 아래와 윗돌에는 연꽃무늬를
두어 우아함을 살리고 있다.
사리를 모셔둔 탑몸돌에는 문짝 모양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새겨져 있는데, 문에 새겨진 자물쇠 모양의 조각은 밋밋하여 형식적으로 흐른 감이 있다.
이를 덮고 있는 지붕돌은 꽤 두꺼운 편으로 각 모서리를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면 그 끝마다 큼직한 꽃조각이 달려 있는데, 크기에 비해 조각이 얕아서
장식효과는 떨어진다. 지붕꼭대기에는 둥그런 돌 위로 지붕을 축소한 듯한 보개(寶蓋)가 얹혀져 있다.
전체적으로 신라의 기본형을 잘 따르면서도 각 부분의 조각들에서 고려 특유의 기법을 풍기고 있어 고려시대 전기인 10세기 즈음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돌을 다듬은 솜씨도 깨끗하고 조각에서도 세련미가 묻어나오는 작품이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24C4A590B05EE29)
#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1B34A590B05EF0E)
#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BF74A590B05F10B)
#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1CA4A590B05F317)
#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17EB4A590B05F424)
#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3F64A590B05F530)
#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7114A590B05F61F)
#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5F049590B05F730)
#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8BA49590B05F92D)
#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1F1C49590B05FA09)
#10.
201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