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석사 무량수전앞에 있는 석등이다.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다.발할 때의 옛날의 모습은 지금보다 훨씬 아름답지
않았을까 하는 상념에 젖어 들어본다.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세워진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4각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꾸몄으며 그 위의 아래받침돌은 큼직한 연꽃 조각을 얹어 가운데기둥을 받치고 있다. 전형적인 8각 기둥형태인 이 기둥은
굵기나 높이에서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는데, 위로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은 윗받침돌을 얹어놓았다.
8 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나오도록 4개의 창을 두었고 나머지 4면에는 세련된 모습의 보살상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도 역시 8각인데 모서리끝이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얹었던 받침돌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 4면에 새겨진 보살상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문화재청 자료참조
#1.
2011.7...
보물 제 82호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江陵 大昌里 幢竿支柱) (0) | 2017.03.25 |
---|---|
보물 제 83호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江陵 水門里 幢竿支柱) (0) | 2017.03.25 |
보물 제 99호 천흥사지 당간지주(天興寺址 幢竿支柱) (0) | 2017.03.25 |
보물 제 102호 보원사지 석조(普願寺址 石槽) (0) | 2017.03.25 |
보물 제 103호 보원사지 당간지주(普願寺址 幢竿支柱) (0) | 2017.03.25 |